본문 바로가기

응용행동분석학

행동형성(Behavior shaping)과 행동연쇄(Behavior chaining)

행동형성의 정의

: 새로운 행동을 형성하는 절차를 행동형성이라고 한다.

즉, 아동이 현재 할 수 있는 행동속에 들어 있지 않은 행동을 강화를 통해 점진적으로 목표행동에 접근시켜 가는 방법이다.

행동 형성법은 행동이 형성될 때 까지 표적행동과 단계적 유사행동에 대해  체계적이고 즉각적으로 강화를 하는 것이다.

이것은 개인의 행동 레퍼토리에서 이전에 분명하지 않았던 행동을 형성하는 데 우선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행동형성법은 가끔씩 나타나는 행동을 증가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행동형성의 진행 순서

1) 형성해야 할 행동(목표)이 무엇인지 정의한다.

2) 출발시점에서 행동 수준을 선정한다

3) 형성해야 할 행동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한다(목표행동의 정의).

4) 출발시점에서 행동수준을 선정한다(기초선의 선정).

5) 기초선 행동패턴에서부터 목표행동 수준의 행동패턴을 작은 단계로 나눈다(소단계화).

각 단계를 점진적으로 접근해 나간다(점진적 접근의 절차).

이때 각 단계의 행동을 강화할 강력한 강화 인자도 아울러 선정한다.

6) 기초선 행동의 반복을 통해 자발적으로 다음 단계의 행동이 출현하면 그 행동에만 강화자극을 제시하고 그 때까지의 기준행동에는 강화 자극을 제시하지 않는다(분화강화의 절차).

7) 앞 단계의 기준에 달하는 행동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보조 또는 지도가 필요하게 된다.

이것을 촉구(prompt)라 한다.

과잉으로 촉구해 주면 자발성을 방해하므로 항상 최소한의 원조를 실시하도록 유의해야한다.

 

 

행동형성의 예.

1)바지입기

1단계) 바지를 입지만 지퍼와 허리띠를 어설프게 찬다.

2단계) 바지를 입고 엄마가 준 허리띠를 알맞게 조인다.

3단계) 옷장에서 스스로 허리띠를 빼서 바지를 입는다.

 

2) 언어발달을 위한 형성

1단계) 입술의 움직임을 강화

2단계) 소리의 발생

3단계) 단어와 문장 표현을 강화함

 

3) 안경 스스로 쓰기

1단계)안경 만지기

2단계) 안경을 얼굴에 끼우기

3단계) 안경을 알맞은 위치에 쓰기

 

4) 양치질 하기

1단계) 칫솔 위에 치약을 짠다

2단계) 칫솔질 한다.

3단계) 입을 헹군다.

 

 

 

 행동연쇄의 정의

- 행동연쇄(Behavior chaining)는

과제분석을 통하여 하나의 표적행동(복잡한 단위요소로 구성)을 하위과제들로 세분하여

일의 순서에 따라 배열한 후 앞에서부터 혹은 뒤에서부터 하나씩 누가적으로 연결하여 강화하는 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면 ‘양말벗기’를 보면

첫 번째, 양손 엄지를 양말목에 넣는다.

두 번째, 양말목을 발등까지 밀어 내린다.

세 번째, 한 손으로 양말코를 잡아당겨 뺀다.

 

이와 같이 세 가지 서로 다른 독립적 행동들이 일련의 순서에 따라 한 줄로 엮인 행동을 우리는 ‘양말 벗기’라고 한다.

 

행동연쇄 훈련 단계의 설정

 

1) 전진연쇄

: 과제분석과 성취수준 평가를 통하여 결정된 하위과제들을 일의 순서에 따라 배열한 다음,

앞에서부터 하나씩 추가하여 단계적으로 가르치는 방법

 

사례) 손씻기

 

단계1 : (과제1)두 손을 물에 담근 다음,(과제2) 비누를 집는다.

단계2 : 단계1 + (과제3) 비누를 두 손바닥 사이에서 문지른다.

단계3 : 단계2 + (과제4) 비누를 제자리에 놓는다.

단계4 : 단계3 + (과제5) 두손을 비빈다.

단계5 : 단계4 + (과제6,7,8,9) 손을 헹구고, 수건을 집어, 두 손을 닦은 다음, 수건을 제자리에 놓는다.

 

이렇게 한 단계를 구성하는 행동은 다음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단서)가 된다.

 

2) 후진연쇄

: 과제분석과 성취수준 평가를 통하여 확정된 하위과제들을 자연적인 일의 순서와는 반대로

뒤에서부터 역순으로 하위과제를 하나씩 추가하여 단계적으로 가르치는 방법.

 

사례) 단추채우기

1. 오른손으로 단추를, 왼손으로 단추 구멍의 끝을 잡는다
2. 단추를 구멍에 넣는다
3. 왼손을 놓고, 구멍에서 나온 단추를 손으로 잡는다
4. 오른손을 놓고, 단추구멍의 끝을 잡는다
5. 양손을 당겨 단추를 구멍에서 꺼낸다
6. 구멍의 끝을 단추의 아래쪽에 넣는다

 

1단계 : (1~5번까지는 보호자가 수행하고)(아동과 함께) 구멍의 끝을 단추의 아래쪽에 넣는다.

2단계 : (1~4번까지는 보호자가 수행하고)(아동과 함께) 양손을 당겨 단추를 구멍에서 꺼낸다./구멍의 끝을 단추의 아래쪽에 넣는다.

이런 방식으로 진행하면서 촉구를 조금씩 줄여가는 것이다.

 

3) 전체과제연쇄

: 전진연쇄의 변형으로 매 훈련 시행에서 학습자에게 전체 하위과제를 순서에 따라 모두 수행하도록 요구하는 훈련방법이다.

전체과제연쇄에서는 훈련 단계를 정해 놓고 조금씩 표적행동의 양을 증가시키는 훈련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과제분석에 의해 설정된 하위과제를 순서대로 하고, 훈련 회기마다 과제의 전 과정을 학습자에게 제시하며 수행을 요구한다.

학습자가 각 하위행동을 올바로 수행하면 칭찬과 정적강화하고 결과를 ‘+’로 기록한다.

학습자가 반응하지 않거나 그릇되게 반응하거나

또는 기준에 못 미치게 반응하면 시범을 보이거나 언어적 힌트를 주거나 필요하면

물리적 촉진자극을 사용하여 올바로 반응하도록 유도하면서 강화한다.

 

사례) 손씻기

- 1단계부터 각 단계가 연속 3회기 100% 수준으로 학습기준이 설정 된 경우 ‘손씻기’ 훈련이 완성됨.

 

4)건너뛰기 후진연쇄

 

: 후진행동 연쇄의 변형으로 과제분석의 모든 단계가 훈련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훈진행동연괘와 동일한 절차이다.

 

사례 ) 단추끼우기

1. 오른손으로 단추를, 왼손으로 단추 구멍의 끝을 잡는다
2. 단추를 구멍에 넣는다
3. 왼손을 놓고, 구멍에서 나온 단추를 손으로 잡는다
4. 오른손을 놓고, 단추구멍의 끝을 잡는다
5. 양손을 당겨 단추를 구멍에서 꺼낸다
6. 구멍의 끝을 단추의 아래쪽에 넣는다

아동에게 단추끼우기 연쇄를 가르치기 위해 건너뛰기 후진행동를 사용한다고 하면

아동은 이미 일부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아동이 알고 있는 단계를 건너뛴다.

즉, 4~5단계를 아동이 할 수 있다면

아동이 연쇄의 마지막 단계인 6단계를 실행한 후에 바로 3단계로 건너뛸 수 있다.

 

 

 

 

참고문헌 

홍준표 저, "응용행동분석" , 학지사

이성봉, 김은경, 박혜숙, 양문봉, 정경미, 최진혁 공저, "응용행동분석", 학지사